[심초음파 01] 혈역학적 평가 (3) 혈류량의 측정 : 역류분획, 역류량, PISA, ERO

도플러 심초음파의 적용

혈류량의 측정

[ 혈류량 (cm3, mL) = 단면적 (cm2) x 혈류이동거리 (cm) ]

1-2. 역류량과 역류 분획의 계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어떤 판막이든 역류가 없다면, 각 판막의 cross sectional area 와 TVI 의 곱은 일정하다. 만일 일정하지 않다면 혈류가 어디로 샌 것이다.

MV 역류량 = MV 유입 혈류량 – LVOT 혈류량
MV 역류분획 = MV 역류량 / MV 유입 혈류량

아래 그림에서 역류분획은 70 % 가 된다.

https://www.cardioserv.net/echo-sv-method-mr/

* PISA (Proximal Isovelocity Area) Method

역류량을 구할 때 PISA 를 이용할 수 있다.
[ 혈류량 (cm3, mL) = 단면적 (cm2) x 혈류이동거리 (cm) ]

역류구멍의 단면적 (ERO) 를 구하는 방법

Regurgitation flow = 역류구멍의 단면적 x 역류혈류속도
PISA flow = 반구면적 x 반구혈류속도
Regurgitation flow = PISA flow
역류구멍의 단면적 x 역류혈류속도 = 반구면적 x 반구혈류속도

Flow rate (Regurgitation flow)
= ERO (역류구멍의 단면적) x MR Vmax (역류혈류속도)
= 2(π)r^2 (반구면적) x Va (반구혈류속도, Alias V)

ERO = [ 2(π)r^2 x Va ] / [ MR Vmax ]

혈류량 (cm3, mL) = 단면적 (cm2) x 혈류이동거리 (cm) 이므로

Regurgitation volume = ERO (역류구멍의 단면적) x MR TVI

예 )
PISA = 1.0 cm (반구의 r)
MR Vmax 470 cm/s
MR TVI = 180 cm
Va = 39 ml/s

ERO = [ 2 x 3.14 x (1.0)^2 x 39 ] / [ 470 ] = 0.52 cm2
Regurgitation volume = 0.52 cm2 x 180 cm = 94 cm3

Calculation of EROA by PISA method. In this apical four chamber view, the PISA region is displayed from a magnified apical view, and the hemispheric PISA radius R is shown between the crosshairs. Note the change of the color Doppler scale, with a baseline shift in the direction of the MR jet (e.g. “down” in this example). The aliasing velocity is 30.8 cm/s. EROA can be calculated as the product of 2πR2 × Aliasing Velocity ÷ Peak Velocity of MR (peak velocity not shown). The vena contracta is indica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arrows. EROA = effective regurgitant orifice area; PISA = proximal isovelocity surface area. (ref : Echocardiographic assessment of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November 2014 Cardiovascular Ultrasound 12(1):46)

* Aliasing Velocity (Va) 는 보통 30~50 ml/s
→ 0.3~0.5 정도로 맞추어야 한다. (위 그림처럼 Baseline 을 내려 맞춰야 한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