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inophilia (호산구증)

Definition

Eosinophilia

Blood eosinophil count exceeding 500 cells/microliter

Severity of eosinophilia
  • Mild eosinophilia: 500 to 1,500 cells/microliter
  • Moderate eosinophilia: 1,500 to 5,000 cells/microliter
  • Severe eosinophilia: > 5,000 cells/microliter

Rouflosse F, Weller PF.
Practical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hypereosinophilia.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0;126(1):39–44.

Pathophysiology

Primarily tissue-dwelling cells

혈액보다 조직에 수 백배 더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말초 혈액에 있는 eosinophilia 로는 organ damage의 risk 를 예측하지 못한다.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Target organs

주로 Skin, lung, GI tract 가 되고, Cardiac, Nervous system 에 involve 할 경우 Life threatening 할 수 있다.

Major cause

Degree of eosinophilia는 양극단을 제외하고는 별로 진단에 도움이 안된다.

  • Very mild eosinophilia : Asthma or allergic rhinitis 등
  • Very severe eosinophilia (2만개 이상…) : Myeloproliferative neoplasm 등

* Hypereosinophilia (HE)

  • 1500개 이상 (1달이상 간격 두고 2회 이상 측정)
  • And/or pathologic confirmation of tissue HE

* Hypereosinophilic syndrome

  –> HE + Eosinophil-mediated organ damage and/or dysfunction

  • (1) Primary (or neoplastic) HES
  • (2) Secondary (or reactive) HES
    • driven by overproduction of eosinophilopoietic cytokines (e.g. IL-5) by other cell types, polyclonal
  • (3) Idiopathic HES
  • (4) Specific syndromes associated with HE
    • eosinophilic granulomatosis and polyangiitis (EGPA) and certain immunodeficiencies
  • (5) Hypereosinophil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HEUS)
    • persistent unexplained HE, but without apparent complications related to tissue eosinophilia

*T cell lymphocytic variants

T 세포 림프구성 변이형 호산구증가증후군(L-HES)은 피부 및 연조직 침범이 주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심혈관계, 폐, 류마티스/관절 침범 등 다른 HES의 임상 양상도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변이는 2차성/반응성 HES의 아형으로 분류되며, 말초 혈액에서 인터루킨-5(IL-5)를 생성하는 T 세포 아집단이 확인된 바 있습니다.

L-HES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되는 비정상 T 세포 표현형은 CD3-CD4+이며, 해당 표현형이 확인된 가장 큰 환자군 연구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은 혈청 면역글로불린 E(IgE) 수치가 상승되어 있었고, 피부 침범과 림프절병증을 동반하고 있었습니다.

전체 림프구 수는 환자의 약 3분의 1에서만 상승되어 있으며, 이 변이가 전체 호산구증가증후군(HES) 환자 중 어느 정도 비율을 차지하는지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한 연구에서 특발성 호산구증가증 환자 60명을 분석한 결과, 그 중 16명에게서 IL-5를 생성하는 비정상적인 T 세포가 확인되었습니다. 이 질환은 림프종으로 진행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상 T 세포는 IL-5 외에도 IL-4, IL-13, GM-CSF와 같은 제2형 T 헬퍼 세포(Th2) 사이토카인들을 분비합니다. 이러한 Th2 사이토카인들이 다른 세포(예: B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L-HES의 다양한 생물학적 특징을 설명해 줍니다. 실제로 B 세포 자극은 IgE 생성 증가와 다클론성 고감마글로불린혈증으로 이어집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