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결핵감염 (결핵진료지침 5판, 2024)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이란?

결핵균에 노출 후 결핵균이 체내로 들어오면, 대부분은 인체의 면역 방어 작용으로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습니다.

결핵균에 감염 후 체내에 소수의 살아있는 균이 존재하나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으며, 증상이 없고, 항산균 검사와 흉부X선 검사에서 정상인 경우를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이라 합니다.

잠복결핵감염은 평생에 걸쳐 5~10% 에서 활동성 결핵이 발생 할 수 있고 이 중 절반이 감염 2년 내에 발생합니다.

정상 면역 성인에서의 잠복결핵감염 진단

면역저하 성인에서의 잠복결핵감염 진단

잠복결핵감염 검사 대상자

Targeted test : 잠복결핵감염으로 확인되었을 때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개인이나 집단을 잠복결핵감염 검사 대상자로 선정하는 전략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해야하는 대상자

다음의 대상자에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한다.

  • 전염성 결핵 환자의 접촉자 (IA)
  • HIV 감염인 (IA)
  •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 예정자 (IA)
  • TNF 길항제로 치료 예정인 환자 (IA)
  • TNF 길항제 이외의 생물학적 제제와 소분자 억제제로 치료 예정인 환자 (IIA)
  • 과거 결핵치료력 없이 흉부X선에서 자연 치유된 결핵병변이 있는 경우 (IA)
  • 규폐증 환자 (IA)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권고하는 대상자

다음의 대상자에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권고한다.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 예정인 자가면역 질환자 (IIB)
  • 투석중인 말기콩팥병 환자(IIB)
  • 혈액암 환자 (IIB)
  • 의료기관 종사자 (IIB)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고려하는 대상자

다음의 대상자에서 일부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고려한다.

  • 당뇨병 환자(IIC)
  • 고형암 환자 (IIC)
  • 위절제술 시행 혹은 시행예정자 (IIC)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의료기관 종사자에서의 잠복결핵감염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