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 세포검사

자궁경부 세포검사

자궁경부암의 표준 조기 검진 방법
위음성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가 검사 혹은 반복 검사가 필요할 수 있음
검사결과가 정상이더라도 검진 주기에 따라 검진 권고
국가암검진 : 20세 이상의 여성에서 매 2년 간격 권고
대한부인종양학회 : 만 20세 이상 여성에서 매 1년 간격으로 검사 권장

자궁경부암 검진 질지침 2판

자궁경부 세포검사 검사 대상자의 준비

  • 검사 48시간 전 질 속에 어떠한 물질도 없어야 합니다.
  • 금지사항 : 성관계, 탐폰사용, 질세척, 질 내 약물, 윤활제 사용, 질 내 피임약의 사용 등
  • 정상적인 월경에 의한 출혈 시 검사 시행 금지 (예외 : 출혈이 암으로 인했을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검사 시행)

자궁경부 세포검사 검사 방법

자궁경부암 검진 질지침 2판

* 주의사항

  • 질경 삽입시 윤활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윤활제는 검체 슬라이드의 염색을 방해할 수 있음)
  • 도말한 슬라이드는 즉시 고정합니다. (공기중 건조된 세포는 판독이 불가)
  • 스프레이 고정액 사용 시 : 의료용 스프레이로 25cm 이상 거리를 두고 분사, 5초 이상 분부 금지, 편평한 곳에 두어 고정
  • 고정 후 빠른 이송이 불가하며 장기간 보전해야 할 경우 냉장보관합니다.
  • 자궁경부이행대에서 적절히 채취하여 endocervical cell 과 squamous metaplastic cell 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자궁경부 세포검사 검사 결과

자궁경부암 검진 결과 판정기준
자궁경부암 검진 질지침 2판
  • 이상소견 없음 : 다음 자궁암 검진 주기인 2년 후 자궁경부세포검사를 받는다.
  • 반응성 세포변화 : 대부분의 경우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염증이나 위축이 심한 경우 등 진료 및 치료가 필요
    한 경우도 있다.
  • 미생물 감염 : 해당 미생물에 대한 치료를 위하여 진료가 필요할 경우도 있다.
  • 비정형 세포이상
일반비정형편평상피세포(ASC-US) : 3가지 방법

(1) 3개월 후 세포검사를 재시행 : 재검사시 정상이면 1년마다 세포검사를 반복, 재검사시 ASC-US 이상의 병변이 나오면 질확대경 검사를 바로 시행

(2) 즉시 HPV 검사를 시행 : 음성이면 6개월 후 세포검사를 재시행, 양성이면 바로 질확대경 검사를 시행

(3) 즉시 질확대경 검사를 시행 : 질확대경 음성 + HPV 음성이면 1년마다 세포검사 시행, 질확대경 음성 + HPV 양성이면 6개월 후 세포검사 시행

일반 비정형 선상피세포(AGC-NOS)

즉시 질확대경 검사와 자궁내경부 조직검사를 실시
이상 없을 시 4, 개월마다 세포검사 반복, AGUs 가 다시나올 경우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시행

자궁경부암 전구단계 의심

고위험비정형편평상피세포(ASC-H)와 저등급편평상피내병변(LSIL) : 질확대경 검사 없이 원추절제술을 시행하거나 혹은 질확대경 검사 및 조준 생검을 시행, 질확대경에서 병변이 보이지 않으면 자궁내경관 소파술을 시행, 모두 음성시 세포검사 + 질확대경 검사 추적관찰

고등급편평상피내병변(HSIL)

즉시 질확대경 검사 및 조준 생검을 시행
조직검사상 정상 또는 CIN 1 이면 원추절제술 시행
CIN 2,3 이면 기존 치료 시행

상피내선암종(AIS)

질확대경 검사와 자궁내경부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원추절제술을 시행

자궁경부암 의심

‘침윤성 편평세포 암종(SCC)’또는‘침윤성 선암종(Adenocarcinoma)’으로 판정 받은 경우

자궁경부암 검진 질지침 2판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