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ood chemistry 볼 때 주의사항 (1) (이어서)
(1) Na 가 낮을 때 : 반사적으로 glucose level을 같이 확인
– hyperglycmia를 확인 (translocational hyponatremia)
– 세포밖 glucose가 매우 많으면 삼투압 형성, 세포내 free water 가 밖으로 나옴
– 혈액 속 (세포밖) 나트륨을 희석시켜 나트륨이 떨어짐 (glucose 낮아지면 다시 복귀)
* 혈당 100 기준으로 → 100 증가할 때마다 나트륨은 1.6 감소함
: Corrected Na = [Na] + (1.6 x (glucose – 100) / 100)
– glucose 가 괜찮다면?
대부분의 경우 free water 섭취가 많은 경우
(2) Ca 이 낮을 때 : 반사적으로 albumin level을 같이 확인
– 혈청 Total Ca = [알부민에 결합된 칼슘] + [이온화된 칼슘 (ionized Ca)]
– 이 중 Ionized Ca 가 실제 기능을 하는 칼슘
– 혈장단백질 (특히 알부민) 의 농도에 따라 혈액 총 칼슘의 양이 달라짐.
* pH 7.4에서 알부민 정상 레벨인 4.0을 기준
→ 알부민이 1.0 감소할 때마다 칼슘은 0.8 이 감소
: Corrected Ca (mg/dL) = [Ca] + [(4 – alb) x 0.8]
– albumin 이 괜찮은데 Total Ca 이 낮다면?
vitamin D 부족이나 cinacalcet 사용, 또는 denosumab 사용 등 (이 부분은 추후 포스팅 계획)
(3) A/G ratio
– A/G ratio를 잘 봐야하는 이유 : 고령환자에서 multiple myeloma 등을 밝혀내기 위해.
– Multiple myeloma 란? (다발성 골수종)
– A/G 가 reverse 되었다면? (A/G ratio 가 1미만) : Protein E.P를 진행
→ 기억해야할 2가지 : Polyclonal gammopathy vs. Monoclonal gammopathy

# 케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