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전의 정의
심장의 기능적 혹은 구조적 이상으로
심실의 혈액박출 혹은 충만에 이상이 발생하여
호흡곤란, 다리부종, 피로 등의 증상이 생기고
폐의 수포음, 경정맥압 상승 등의 신체 징후가 동반될 수 있는
임상 증후군이다.
심부전의 분류
- 박출률 감소 심부전 : HFrEF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 박출률 경도 감소 심부전 : HFmrEF (heart failure with mildly reduced ejection fraction)
- 박출률 보존 심부전 : HFpEF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fraction)

심부전의 증상과 징후

심부전의 진단

혈중 BNP < 35, NT-proBNP <125 일 경우 심부전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BNP 는 좌심실 벽의 압력, 용적 스트레스 자극에 분비
proBNP 가 먼저 분비되고 이 후 두 가지로 분해됨. (BNP, NT-proBNP)
BNP 는 생리적으로 활성화
NT-proBNP 는 생리적으로 불활성화
두 가지 모두 유용한 마커
NT-proBNP 는 neprilysin 에 의해 분해되지 않음. – ARNI 사용시 NT-proBNP 혈중 농도에 영향 없음.
: ARNI 사용 시 NT-proBNP 를 확인하는 것이 선호.
BNP 는 neprilysin 에 의해 분해됨. – ARNI 사용시 BNP 혈중농도 증가 가능 (ARNI 가 neprilysin 억제)

* 관련 포스팅 : 2023.03.25 – 만성콩팥병, 투석환자에서의 BNP, Troponin I 기준수치
다양한 심부전의 원인 감별



박출률 보존 심부전의 진단


박출률 감소 심부전의 치료

ACEi 와 ARBs


ARNI

Beta blocker

사용금기 : 2도, 3도 방실차단 / 심각한 하지 허혈 / 천식 (상대적 금기, 심장 특이적 베타차단제는 조심스럽게 사용 가능, COPD 도 사용 가능, 금기 아님.)
MRAs

SGLT2 inhibitor
당뇨없이도 사용 가능 – 단 국내에서는 아직 보험 적용 안됨.
이뇨제
- thiazide 계 이뇨제 : 고요산혈증, 저나트륨혈증 주의
- furosemide 이뇨제는 IV 제제가 생체이용율이 더 좋으며, 빠르게 작용

Ivabrad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