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GO 가이드라인 CKD 2024 간단 정리(2)

CKD 환자의 Risk assessment CKD 환자는 적어도 매년 알부민뇨와 GFR 을 평가해야 합니다. CKD progression 의 higher risk 인 분은 더 자주 검사해야 합니다. CKD 환자에서 eGFR 이 예상 범위의 20% 를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을 경우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hemodynamically active 치료를 시작한 CKD 환자의 경우 eGFR 저하가 30% 초과시) 알부민뇨를 모니터링 하고 있는 CKD … 더 읽기

Total CO2 와 Bicarbonate

Total CO2 는 동적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Bicarbonate + 혈액에 용해된 CO2 를 의미 일시적으로 생성된 H2CO3 는 무시하면 결국 용해된 CO2 만 생각하면 됩니다. 용해된 CO2 는 용해상수 x PaCO2 가 되는데, CO2 의 용해상수는 0.03 이고 일반적인 PaCO2 의 값은 40mmHg 이므로 용해된 CO2 는 1.2 정도가 됩니다. Total CO2 = 1.2 … 더 읽기

KDIGO 가이드라인 CKD 2024 간단 정리(1) CKD 의 평가

CKD (chronic kidney disease) 의 정의 (KDIGO) CKD is defined as abnormalities of kidney structure or function, present for a minimum of 3 months, with implications for health. CKD is classified based on Caus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category (G1–G5), and Albuminuria category (A1–A3), abbreviated as CGA. CKD 의 평가 urine albumin 과 GFR 을 평가해야 합니다. ACR 이 … 더 읽기

[MN] 단백뇨 및 혈뇨

단백뇨 및 혈뇨 중점체크사항 혈뇨   Microscopic RBC 3-5/HPF 이상을 보통 혈뇨라 정의하는데, 그 중 Dysmorphic RBC 가 중요하다. 사구체성 혈뇨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센터마다 다르지만, 보통 80% 이상은 나와야 의미있게 본다. 또한 단백뇨가 동반되어 있다면 사구체성 혈뇨를 좀더 의심할 수 있다. 혈뇨의 감별 진단   가성혈뇨, 질분비물 오염, 사구체성 혈뇨, 비사구체성 혈뇨, 요로감염, 결성, 악성종양, 낭성질환, 신경색증, … 더 읽기

[MN] 만성콩팥병 (CKD)

만성 콩팥병 (CKD) * KDIGO guideline 참고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   혈액투석 (6만) > 신이식 > 복막투석 순으로 많으며, 보통 우리나라의 8만명 이상의 환자가 신대체요법을 받고 있다. 신부전의 원인은 당뇨병 (48%), 고혈압, 사구체 질환 순으로 많다. 만성 콩팥병에서의 신장 크기   우리나라 성인의 신장 크기 평균은 약 10.50cm/10.65cm 에서 +- 0.8cm 정도 되며,(9cm 이상되면 정상으로 본다.) 대게 ESRD 환자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