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GA
혈액검사에서 염소 (chloride, Cl)를 체크하는 이유
보통 혈액검사에서 나트륨 (Na) 과 칼륨 (K) 과 비교하여 Cl (염소, chloride) 는 비주류로 취급을 받습니다.그래서 Na 와 K 는 확인하지만 Cl 은 검사조차 안하는 의원이나 과도 있습니다.하지만 신장내과에서는 Na, K, Cl 은 항상 세트로 생각합니다.이는 Cl 의 수치를 보고 산염기 상태의 중요한 힌트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Anion Gap (AG) = Na – … 더 읽기
산염기 장애의 생리적 접근 (요약)
본문참고 : https://sondoctor.co.kr/118 1. 임상적 평가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2. 일차적인 산염기 장애 파악 그리고 이차적인 보상 반응 확인 3. Metabolic component 를 고려 1) Metabolic acidosis – Anion Gap 을 구하기 (참고치는 12 이내) –> Anion gap = [Na+]−[Cl−] − [HCO3−] – High anion Gap acidosis : GOLD MARRK * delta-delta 방법 high anion gap acidosis 와 … 더 읽기
산염기 장애의 생리적 접근
1. Overview 산염기 장애를 접근하는 3가지 주요 방식 –> 본 review 는 physiological method 를 순서대로 살펴보았다. physiological method 의 경우 carbonic acid-bicarbonate buffer system 을 이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CO2 의 부분압의 변화는 반응에 따른 이차적인 bicarbonate 농도 변화 적응을 유발한다. (그 반대도 성립한다.) 수소 이온의 농도는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단백질과 세포막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