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종류별 스펙트럼

페니실린 (Penicillin) GPC MSSA GNR 녹농균 혐기성균 기타 Penicillin G ○ Spirochaeta(특히 매독) Ampicillin ◎ △ EnterococciListeria Piperacillin ○ ○ ◎ Ampicillin/Sulbactam ○ ○ ○ ○ Piperacillin/Tazobactam ○ ○ ○ ○ ○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 GPC MSSA GNR 녹농균 혐기성균 기타 Cefazolin △ ◎ △ Cefmetazole △ ○ ◎ Cefotiam △ ○ ○ Ceftriaxone △ △ … 더 읽기

카바페넴 (Carbapenem)

카바페넴 (Carbapenem) 특징 카바페넴 (Carbapenem) 스펙트럼 GPC MSSA GNR 녹농균 혐기성균 비고 Imipenem/cilastatin ○ ○ ○ ○ ○ 경련, 미각이상 부작용 Meropenem (메로펜) ○ ○ ○ ○ ○ Ertapenem (인반즈) ○ ○ ○ ○ 1일 1회 주사Acinetobacter 커버 불가 Doripenem (피니박스) ○ ○ ○ ○ ○ 카바페넴 (Carbapenem) 종류별 특징 서로 비슷함.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특징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스펙트럼 GPC MSSA GNR 녹농균 혐기성균 비정형 세균 Doxycycline △ △ ○ ○ Minocycline △ ○ ○ ○ Tigecycline △ ○ ○ ○ ○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종류별 특징 Doxycycline [2세대] Minocycline [2세대] Tigecycline (타이가실) [3세대]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적응증

뉴퀴놀론 (New fluoroquinolones)

뉴퀴놀론 (New fluoroquinolones) 의 특징 뉴퀴놀론 (New fluoroquinolones) 스펙트럼 GPC MSSA GNR 녹농균 혐기성균 비정형 세균 Ciprofloxacin △ ○ ○ ○ ○ Levofloxacin ○ △ ○ ○ △ ○ Moxifloxacin ○ △ ○ ○ ○ ○ 뉴퀴놀론 (New fluoroquinolones) 종류별 특징 Ciprofloxacin (사이톱신) Levofloxacin (크라비트) Moxifloxacin (아벨록스)

아미노글리코사이드 (Aminoglycoside)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특징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스펙트럼 GPC MSSA GNR 녹농균 혐기성균 기타 Gentamicin △ ○ ◎ Amikacin ○ ○ Norcardia, NTM Tobramycin ○ ◎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부작용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종류별 특징 겐타마이신 (Gentamicin) Tobramycin 에 비해 녹농균에 대한 활성은 떨어지나 Enterococcus 나 Serratia에서는 Tobramycin 보다 활성이 높다. Gentamicin 의 indication 아미카신 (Amikacin) Norcardia, NTM 치료에 사용 토브라마이신 (Tobramycin) Gentamicin … 더 읽기

페니실린 (Penicillin)

페니실린 (Penicillin) 특징 페니실린 (Penicillin) 스펙트럼 GPC MSSA GNR 녹농균 혐기성균 기타 Penicillin G ○ Spirochaeta(특히 매독) Ampicillin ◎ △ EnterococciListeria Piperacillin ○ ○ ◎ Ampicillin/Sulbactam ○ ○ ○ ○ Piperacillin/Tazobactam ○ ○ ○ ○ ○ 페니실린 (Penicillin) 종류별 특징 (1) Penicillin G 페니실린G 의 단위 페니실린G 와 칼륨 페니실린G 의 사용 (2) Amoxicillin Amoxicillin … 더 읽기

항생제 사용 기간

일반적인 항생제 사용 기간 항생제는 감염의 발생 부위, 병원균의 종류 및 특성, 숙주의 면역에 따라 달라집니다. 실제 많은 감염증에서 항생제 치료 기간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몇 가지 감염병은 임상 시험을 통해 치료 기간이 확립되었습니다. 다만, 임상 시험에 참여할 수 있는 일부 환자만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더 나쁜 기저질환이나 상태를 가진 환자의 경우 항생제의 치료 기간이 … 더 읽기

감기인데 항생제를 쓰는 이유

debt) 가 이제서야 후유증을 만들어 내는 것 같습니다. 감기의 정식 명칙은 상기도 감염입니다. (Upper respiratory infection, URI) 상기도는 목의 성대 위쪽, 즉 인후두, 코, 부비동, 귀 등이 해당됩니다. 감기의 대부분은 갖가지 바이러스가 일으킵니다. 감기에 걸렸다가 나으면 그 바이러스에 면역이 형성되지만, 감기 바이러스들의 종류가 너무너무 다양하기도 하고 (rhinovirus 는 종류가 101가지), 수시로 변이를 일으키기도 하여 (대표적인것이 … 더 읽기

장염인데 항생제 안써도 되나요?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 세균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장염환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장염치료의 기본 원칙은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 공급입니다. 특수한 경우에만 항생제를 쓰도록 되어있습니다. 오히려 항생제를 사용하면 독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 글을 통해 급성 장염에서 언제 항생제를 써야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장염의 치료는 우선적으로 수분과 전해질 공급입니다. 무조건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혈변이나 점액변의 양상이거나, 발열, 하루 6회 이상 다량의 … 더 읽기

Fluoroquinolone, Aminoglycoside, Colistin 간단 메모

1. Fluoroquinolone 간단 메모 모든 Fluoroquinolone 은 Bactericidal 하다. (1) 1세대 : Nalidixic acid, Cinoxacin –> G(-) bacteria, Not pseudomonas (2) 2세대 : Norfloxacin, Ciprofloxacin, Lomefloxacin, Ofloxacin, Enoxacin –> G(-) bacteria, pseudomonas (3) 3세대 : Levofloxacin, Sparfloxacin –> 2세대와 같은데, G(+) 에 대한 항균력이 증가 (S. pneumoniae) (4) 4세대 : Moxifloxacin, Gemifloxacin, Sitafloxacin –> 3세대와 … 더 읽기

급성 설사(장염)에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급성 설사에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indication 을 알고 있어야 한다. 요약하면 38.5도씨 이상의 발열과 함께 혈변, Stool WBC 증가, 면역저하자나 고령의 경우 항생제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하지만 HUS 때는 항생제 사용이 금기이다.   설사란 비정상적인 액상의 변이나, 형태가 없는 변으로 배변의 횟수가 증가된 것을 의미한다. 대게 대변의 양이 200g/day 초과시 설사로 여겨지며, 급성의 경우 2주 … 더 읽기

[MI] 항생제 종류

Penicillin 1. Beta lactamase susceptable narrow spectrum penicillin 2. Beta lactamase susceptible enteric active penicillin 3. Beta lactamase susceptible enteric active & antiPseudomonal penicillin (1) Carboxypenicillin : 그람음성균 추가, 녹농균 향균력 (2) Ureidopenicillin : 그람음성균 추가, 녹농균 향균력 4. Beta lactamase resistant anti-staphylococcal penicillin (1) Isoxazolyl penicillin (2) Nafcillin : 주로 간에서 대사, 신기능 저하시 감량 필요 없음. … 더 읽기

[MI] 항생제 요약 (Based on 항생제 스타트)

* 서론 스펙트럼이 넓다는 것이 좋은 항생제는 아니다. 불필요한 균까지 커버하는 것은 장래 항생제가 듣지 않는 균을 키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 본론 1. 페니실린 계   (1) 페니실린 G     – 황색포도구균을 제외한 그람양성구균에 잘 듣는다. (A군 용혈연쇄구균, 폐렴구균, 녹색연쇄구균 등) 이전에는 황색포도구균에 잘 들었으나, 내성을 획득하여 90% 이상이 저항성이다.   (2) 아미노 페니실린 … 더 읽기

[MI] 항균요법 (항생제 사용) 의 원칙

항균요법의 (항생제 사용) 원칙 Acute pharyngitis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 : Centor criteria 3가지 이상이면 bacterial infection 을 시사 (positive predict value 가 약 60%) 항생제를 사용. Modified Centor score (McIsaac Score) 계산기 Acute sinusitis 항생제 사용하는 경우 Infectious diarrhea   특정 종류의 E.coli, Salmonella, Shigella, Campylobacter 등의 감염일 경우 항생제 사용이 도움이 된다. significant fever, … 더 읽기

[MI] 세균 (박테리아) 요약

GPC 1. Staphylococcus 2. Streptococcus 3. Enterococcus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낮으나, 면역 저하상태에서 UTI, IE, 복강내감염, 뇌수막염 가능 (기회감염) * beta-hemolytic 은 완전 용혈, alpha-hemolytic 은 부분 용혈, 배지에 녹색을 띠게되어 녹색연쇄구균이라고도 하는 S. viridans. 사실 Viridans 는 특정 균이라기 보다 그룹이름. GPB (= GPR, 그람양성간균) GNC GNB 1. 폐렴 그룹 2. 장염 그룹 3. 기타 (파퍼프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