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검사 결과지에 나오는 사구체 여과율과 신장학회 홈페이지에서 조회한 사구체 여과율 결과가 차이나는 이유

만성 콩팥병 환자라면 정기적으로 하는 혈액검사를 통해 본인의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 변화에 일희일비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왠만한 의료전문가 못지않은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만성콩팥병 환자분 진료때는 크레아티닌 수치와 사구체 여과율을 메모지에 적어드리면서 수치를 기억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어떤 만성 콩팥병 환자분의 경우 크레아티닌 수치를 가지고 신장학회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추정 사구체 여과율 계산기로 계산해보는 분도 계신데, 가끔 … 더 읽기

Calculation of Daily Urinary Electrolyte Excretion (전해질의 하루 배출량을 spot urine chemistry 검사만으로 추정)

전해질의 하루 배출량을 spot urine chemistry 검사만으로 추정하는 방법   전해질 이상 환자를 만났을 때, 24시간 소변 측정은 중요하다. (특히 칼륨 이상 환자) 하루 동안 소변에서 배출되는 전해질 양을 정확하게 알아야 그 전해질 이상의 원인이 신장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인지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24시간 소변 측정은 환자에게 있어 하기 힘든 검사일 뿐더러 실제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