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결핵감염 (결핵진료지침 5판, 2024)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이란? 결핵균에 노출 후 결핵균이 체내로 들어오면, 대부분은 인체의 면역 방어 작용으로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습니다. 결핵균에 감염 후 체내에 소수의 살아있는 균이 존재하나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으며, 증상이 없고, 항산균 검사와 흉부X선 검사에서 정상인 경우를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이라 합니다. 잠복결핵감염은 평생에 걸쳐 5~10% 에서 활동성 결핵이 발생 할 … 더 읽기

2017 결핵진료지침(3판) 요약(2) : 잠복결핵

잠복결핵감염 검사의 적응증 (1) LTBI검사는 전염성결핵환자의 접촉자 (2) 결핵 발병위험이 높은 군 (3) 결핵균 감염의 위험성이 높고, 결핵발병시 환지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의료인 결핵 발병위험이 낮은 군에서는 권고하지 않는다. 과거에 활동성 결핵 혹은 LTBI로 치료한 환자 혹은 LTBI 검사 양성으로 확인되었던 자에서 LTBI 검사는 유용하지 않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잠복결핵감염 진단방법 LTBI는 활동성 결핵을 배제한 후 … 더 읽기

잠복결핵의 진단 및 치료

잠복결핵 결핵균 노출시 평생 30% 정도의 확률로 감염이 되어 잠복결핵감염이 된다. 이 중 2년 이내에 발병(active TB 로의 변화) 이 많고, 그 이 후에는 5% 미만이다. 2년내로 건강한 사람의 경우는 10% 미만, 나이가 어린 경우 5세 미만은 20%, 2세 미만은 50%, HIV 환자의 경우 30% 미만으로 면역력에 따라 그 빈도가 다르다. 따라서 잠복결핵 감염의 치료는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