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 와 P-CAB (케이캡정, 펙수클루정)

기존 위식도 역류질환의 치료제인 PPI 의 단점 P-CABs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s, 칼륨-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P-CAB 은 위산 분비 최종 단계에 관여하는 H+, K+-ATPase 에 칼륨 이온과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합니다. 칼륨 이온과 H+, K+-ATPase 와 결합을 해야 위산이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구조 자체가 이미 benzimidazole carboxamide 구조 (active form)로 위산에 의한 활성화 과정이 불필요하고 직접 H+, … 더 읽기

위산분비 기전

위벽을 구성하는 세포 종류 Proximal part Distal part  위액의 구성 위산분비의 조절 음식이 위에 닿기 전 parietal cell 은 위산을 분비하고, chief cell 은 pepsinogen 을 분비하도록 자극됩니다. 따라서 음식이 위에 도달하면 단백질이 소화되어 분해되고 이는 추가적으로 gastric antrum 에서 gastrin 분비를 촉진합니다. 또한 gastric distention 은 vagovagal reflex 를 일으켜 위산분비와 pepsinogen 분비를 더욱 … 더 읽기

만성기침 원인 상기도기침증후군(UACS) 천식 호산구기관지염 위식도역류질환

기간에 따른 기침 분류 3주까지는 급성, 3~8주는 아급성, 8주 이상 지속시에는 만성 기침으로 분류한다. 기간에 따라 흔한 원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중요하다. 기침의 수용체 분포 목, 코, 귀 등에도 수용체가 있어 비염, 부비동염, 후비루, 귀를 파는 등의 행동으로 기침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도 기침 증후군 (upper airway cough syndrome) 과거 후비루 증후군으로 불렸다. (PNDS) 코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