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 단상] 그때 검사한번 해봤더라면

40대 중반의 여성분이 감기 증상으로 내원하였습니다. 2년전에 딱 한번 코로나 접종을 위해 이곳에 내원한 적이 있는 분입니다. 아무리 간단한 감기약이라도 환자분에게 맞는 해악이 없는 약을 처방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저질환을 여쭙게 됩니다. “혹시 진단 받으신 질환이나, 복용 중인 약은 없으세요?” 그런데 젊은 나이에 걸맞지 않게 여러가지 기저질환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당뇨도 있고, 고지혈증도 있고 이번에 눈 … 더 읽기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이란? 기존 만성질환관리 시법사업을 통합하여 지역사회 만성질환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모델 및 민간-공공 협력활동 등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사업 환자의 서비스 제공과정 1) 환자등록 – 대상자 2) 케어플랜 수립 합병증 확인 임상검사 고혈압 임상검사 항목 당뇨병 임상검사 항목 맞춤형 검진바우처 제공 대상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연령의 고혈압, 당뇨병 환자 … 더 읽기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이번에 질병관리청에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홍보자료가 나왔길래 한번 소개해봅니다. 사실상 심뇌혈관 예방수칙은 결국 자기 수명대로 오래오래 사는 비법과도 같습니다. (암이나 사고, 희귀병 등의 불가피한 경우는 제외) 결국 인생에서 큰 후유증을 남기는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병이 심근경색과 뇌졸중이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것이 결국 건강하게 오래 살아가는 비결입니다. 심뇌혈관질환의 정의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과 뇌졸중(뇌출혈, … 더 읽기

[MN] 당뇨병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이 의심되는 사람에게서 꼭 필요한 검사는 Diabetic retinopathy 를 확인하기 위한 안저검사이다.   당뇨병성 신장병의 가장 주요한 현미경적 특징은 GBM 이 두꺼워져 있다는 것이며, Mesangial expansion 이며 결국 이로 인해 nodular sclerosis 가 발생한다. 보통 GBM 의 두께는 성인의 경우 250 ~ 450 nm 정도이며, 약 +-50 정도로 남여간 차이가 있다. 태어났을 … 더 읽기

[ME]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1. 당뇨병의 분류 2. 당뇨병 치료 목표 권고안 (비임산부 성인)   HbA1c 는 7.0% 미만이 되게 하며, 공복혈당은 80~130, 식후 혈당은 180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권고안이나, 반드시 이러한 목표는 개별화 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고위험군은 덜 intensive 하게 care 한다.) HbA1c 7.0% 은 대략 평균 혈당 154가 되며, 1% 전후로 약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