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질환
I49 : 기타 심장부정맥
I50 : 심부전
I20 : 협심증
I25 : 만성 허혈심장병
I99 : 순환계통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장애
LVEF 40% 이하 또는 CT ratio 60% 이상의 심부전
– 평가기간동안 검사 (흉부 X-ray, 심초음파 등) 상 확인되는 경우
인공심박동기 사용 또는 약물치료 중인 심방조동 및 세동
– 평가기간 동안 검사 (심초음파, EKG 등) 상 심방 조동 및 세동이 확인되는 환자가 인공심박동기를 사용하거나 약물치료 중인 경우
관상동맥 stent 시술 또는 CABG op. 또는 일상생활에서 계속 협심증 증상이 있는 허혈성 심장병
– 허혈성 심장병 환자가 관상동맥 stent 시술 또는 CABG op 를 최근 3년 이내 받았거나, 평가대상기간 동안 일상생활에서도 계속 협심증 증상이 있는 경우
개심수술 환자
– 최근 3년 이내에 심장판막치환술 등 개심수술을 받은 경우
뇌혈관 질환
I60 : 지주막하출혈
I61 : 뇌내출혈
I62 : 기타 비외상성 두개내출혈
I63 : 뇌경색증
I64 : 출혈 또는 경색증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졸중
I65 : 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은 뇌전동맥의 폐쇄 및 협착
I67 : 기타 뇌혈관질환
I68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뇌혈관장애
I69 : 뇌혈관질환의 후유증
뇌졸증 등의 질환에 의한 장애발생 – 식사나 용변시 타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 (단순 보행장애 등은 제외)
– 평가 대상기간 동안 객관적인 방사선학적 자료가 있는 것이 원칙이나 담당의사의 정확한 신경학적 평가가 있는 경우에도 인정
간경변증
K74 : 간의 섬유증 및 경변증
간성 혼수 경력이 있거나 이학적으로 뚜렷한 복수가 지속되는 경우, 혹은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 최근 1년 이내에 간성혼수가 한번이라도 발생한 경우 or
– 평가대상기간 동안 검사 (복부 초음파, 이학적 검사) 상 복수가 확인되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or
– Child-Pugh score 가 10점 이상인 간경변증 환자

출혈성 위장관 질환
K25 : 위궤양
K26 : 십이지장궤양
K27 :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
K28 : 위공장궤양
K29 : 위염 및 십이지장염
출혈성 위장관 질환으로 수혈 또는 내시경적 시술을 받은 경우
– 최근 1년 이내에 출혈성 위장관 질환이 발생하여 수혈을 받았거나 내시경적 시술을 받은 경우
– 단, 위장관 검사를 위해 시행한 내시경 검사는 내시경적 시술에 해당되지 않음.
만성폐질환
J44 : 기타 만성 폐색성 폐질환
만성 폐질환으로 평지보행에서도 호흡곤란이 있고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mHg 이하인 경우
– 평가대상기간 중 평지보행 시에도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가 산소를 흡입하지 않는 평상시 안정상태에서도 동맥혈 산소분압이 65mmHg 이하인 경우
악성종양
C00~C97
악성종양 수술 또는 항암요법 치료를 받은 경우
– 악성 종양으로 인해 최근 1년 이내 수술 또는 항암치료를 받은 경우로 과거의 완치된 병력은 제외함.
당뇨
E10 : 인슐린-의존 당뇨병
E11 :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E12 : 영양실조-관련 당뇨병
E13 : 기타 명시된 당뇨병
E14 : 상세불명의 당뇨병
혈당조절을 위해 인슐린주사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 혈당 조절을 위해 경구약제만 투여하는 경우는 제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