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DIGO 가이드라인에 정의된 만성콩팥병 (chronic kidney disease) 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CKD is defined as abnormalities of kidney structure or function, present for 3 months, with implications for health and CKD is classified based on cause, GFR category, and albuminuria category (CGA).
3개월 이상 구조와 기능의 이상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GFR 과 Albuminuria 에 따라 staging 을 합니다.


표 대신 보기 좋은 그림도 있습니다.
시계를 생각하면, 쉽계 만성콩팥병의 단계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또한 GFR 과 albuminuria 에 따라 예후를 예측하기도 합니다.

GFR 이 낮을 수록, 알부민뇨가 많을 수록 예후는 좋지 않습니다.
A3 는 overt albuminuria 단계인데, 이 경우 GFR 이 60 미만이면 모두 very high risk 입니다.
overt albuminuria 하루 300 mg 이상 나올때 (A3) 를 의미하는데,
UA 에서 dipstick 1+ 는 30mg/dL 정도입니다.
하루에 1L 의 소변을 본다고 가정하면, 하루 300mg 정도는 나와야 dipstick 에서 1+ 가 되는 셈입니다.
microalbuminuria 는 하루 30~300 mg 일 때 (A2) 입니다.
GFR 을 알고, albuminuria 를 알면 CKD progression risk 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CKD progression 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2.1.3: Define CKD progression based on one of more of the following (Not Graded):
- Decline in GFR category (≥90 [G1], 60-89 [G2], 45-59 [G3a], 30-44 [G3b], 15-29 [G4], <15 [G5] ml/min/1.73 m²). A certain drop in eGFR is defined as a drop in GFR category accompanied by a 25% or greater drop in eGFR from baseline.
- Rapid progression is defined as a sustained decline in eGFR of more than 5 ml/min/1.73 m²/yr. The confidence in assessing progression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serum creatinine measurements and duration of follow-up.
따라서 위 표를 바탕으로, 각 위험 단계에 따라 1년에 얼마나 자주 GFR 과 Albuminuria 를 monitoring 해야하는지 가이드가 있습니다.




GFR 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보통 serum Creatinine 을 이용한 eGFR 을 구하여 이용합니다.
하지만 Creatinine 만으로 신기능을 추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한편, Cystatin C 는 모든 유핵세포에서 일정하게 생성되므로, muscle mass 나 protein intake 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신장에서 모두 대사되기 때문에 신기능을 측정하기에 좋은 검사입니다. 하지만 검사 가격이 creatinine 에 비해 비싼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Cr-eGFR 로 구한 stage 가 CKD 3A 같은 애매한, CKD 의 위험요인이 없는데, GFR 은 낮을 때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검사를 해볼 수 있겠습니다.

- 사구체여과율 추정 (eGFR) 계산기 : Corkcroft-Gault, MDRD, CKD-EPI Cr eGFR (2009, 2021) 포함
- 사구체여과율 추정 (eGFR) 계산기(2) : CKD-EPI Creatinine-Cystatin C equation (2021)
단, hyperthyroidism 이거나, inflammation 시에는 증가할 수 있으며, 임신 3rd trimester 나 steroid 사용 시에도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