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 염증성 장질환 (2) – 크론병
01_의학 상식/016_소화기
2018-11-06 18:31:11
[MG] 염증성 장질환 (2) – 크론병
크론병의 진단
크론병 진단의 gold standard 방법은 없다. 병력, 신체검진 소견 등의 임상 평가와 내시경 검사, 조직검사, 영상의학 검사, 혈액검사 등을 종합하여 내리게 된다.
임상 증상으로 주증상은 복통, 체중감소 및 설사 등이 발생하며, 장관 외 증상으로 구강, 피부, 관절, 안구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결핵 병력 및 항문 주위 병변에 대한 병력 청취가 중요하다. 신체 검진으로 복부 종괴가 만져지는지, 직장 항문 수지검사도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하겠다.
크론병의 내시경 소견으로 Rectum 은 보통 spared 되며, Asymmetric 하고 Skipped disease 를 흔히 보인다. 정상 점막에 Discrete ulcers 가 발생할 수 있으며, Linear ulcer도 흔하다. Mucosal friability 는 흔하지 않다. 심한 경우 Cobblestoning 이 보일 수 있다. 또한 Sticture 와 fistula 도 보일 수 있다.
조직 소견은 noncaseating granuloma 이지만, sensitivity 가 매우 낮고, pathognomic 한 finding 도 아니므로, 참고정도만 하는 것이 좋다.
가장 일반적인 영상의학 검사로 CT enterography 가 있다.
크론병의 Monteal classification
IBD 환자의 불량한 예후 인자들
–> 체중감소는 불량한 예후 인자가 아니다.
…
Crohn's disease activity index
크론병의 치료
CD 의 경우 remission 과 activity 를 반복하면서 그 damage 가 악화되고 심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질병이 많이 진행된 경우 anti TNF-alpha 의 효과가 떨어지므로, Poor outcome 이 예상되는 환자는 조기에 anti TNF-alpha 를 사용하는 것이 추세이다.
최근 치료의 목표도 달라졌다. 과거에는 단순히 QoL 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였다면, 최근에는 Normal endoscopy, Histological remission 인 Deep remission 의 개념이 강조되어 이것이 치료 목표가 되었다. Deep Remission 이 될 경우 입원기간이 감소되고, 수술 횟수가 적어지며, QoL 이 증가되고, Cancer risk (UC) 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Anti TNF 의 부작용으로 과민반응 (주입반응), 두통, 피부 발진이 있을 수 있고, 장기간 사용시 결핵, 감염, 악성 림프종 등의 발생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Anti TNF 사용 전 LTBI 및 HBV, HCV, VZV, HIV, ongoing infection, malignancy hx. HF, SLE, Demyelination, 백신이력 등을 조사해야 한다. (생백신의 경우 anti TNF 치료 중 금기이므로, 치료 1개월 전에 백신 완료해야 한다.)
Vedolizumab
Selectively blocks gut lymphocyte trafficking 하는 약제이다.
Anti-integrin 으로서 inflammatory cell 들이 gut tissue 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한다.
Gut 에만 국한되므로, 전신 감염의 합병증이 적은 장점이 있다.
Intestinal TB 와의 감별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Intestinal TB 의 진단
진단이 불확실할 때는 TB medication 을 먼저 시행하고, 호전여부를 보는 경우도 있다.
끝.
2018. 11. 6 – SJH
#크론병 #염증성 장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