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
모든 시술에서 복용 유지는 가능하지만, 혈전증 저위험군에서 ESD(점막하박리술)나 EMR(점막절제술) 시행 예정시에는 아스피린 5~7일 중단하는 것을 고려
내시경 시술의 출혈 위험도
저위험 시술
- 진단내시경과 조직검사
- 괄약근 절제술이 없는 역행성 담췌도 조영술
- 진단적 내시경 초음파
- 확장술을 하지 않는 담도/췌도 스텐트 삽입술
- 진단적 풍선소장내시경
고위험시술
- 용종절제술, 점막제거술, 점막하박리술
- 괄약근 절제술을 시행하는 역행성 담췌도 조영술
- 유두부절제술
- 내시경적 위장관 협착 확장증
- 정맥류 치료 및 내시경 지혈술
- 내시경적 위조루술
- 내시경 초음파를 통한 세침흡인
- 식도/장관/대장 스텐트 삽입술
- 치료적 풍선소장 내시경
혈전증 고위험군 (항혈소판제제)
- 12개월 이내의 관상동맥 약물 방출 스텐트 삽입술
- 1개월 이내 관상동맥 금속 스텐트 삽입술
*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이 없는 허혈성 심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등은 저위험군
혈전증 고위험군 (항응고제)
- 이첨판의 금속인공심장판막
- 인공심장판막 with 심방세동
- 이첨판협착증 with 심방세동
-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3개월 이내
* 대동맥 금속인공심장판막, 조직인공심장판막, 판막질환 없는 심방세동 등은 저위험군
혈전증 저위험군 – 내시경 출혈위험도 낮은 시술
- 아스피린은 계속 투여 가능
- 클로피도그렐 등(프라수그렐, 타카그렐러 등) 계속 투여가능
- 와파린 투여가능 (INR 치료범위내 있는지 확인)
- NOAC 은 시술 당일 아침 투여하지 않음
혈전증 저위험군 – 내시경 출혈위험도 높은 시술
- 아스피린은 계속 투여 가능
- 클로피도그렐 등 : 5일전 중단 후 아스피린으로 변경 투여
- (DAPT 시에는 클로피도그렐 등만 5일전 중단, 아스피린은 계속 투여)
- 와파린 : 5일전 중단, PT INR <1.5 인 경우 시술, 시술 당일 저녁부터 투여 재시작
- NOAC : 시술 48시간 이전까지만 복용, 지혈 완료 후 재시작
혈전증 고위험군 – 내시경 출혈위험도 낮은 시술
- 아스피린은 계속 투여 가능
- 클로피도그렐 등 계속 투여가능
- 와파린 투여가능 (INR 치료범위내 있는지 확인)
- NOAC 은 시술 당일 아침 투여하지 않음
혈전증 고위험군 – 내시경 출혈위험도 높은 시술
- 아스피린은 계속 투여
- 클로피도그렐 등 : 5일전 중단 후 아스피린으로 변경 투여
- (DAPT 시에는 클로피도그렐 등만 5일전 중단, 아스피린은 계속 투여)
- 와파린 : 5일전 중단, 와파린 중단 2일 후부터 bridge 치료 시작, 시술 당일 저녁부터 투여 재시작
- NOAC : 시술 48시간 이전까지만 복용, 지혈 완료 후 재시작
* Bridge 치료
- 시술 5일 전부터 와파린 중단
- 와파린 중단 2일 후부터 (INR 이 치료범위보다 떨어질 동안) LWMH 사용
- 시술 24시간 부터 헤파린 사용 중지
- 시술 6시간 후 부터 헤파린 다시 시작
- 시술 당일 밤 와파린 투여 시작
- PT INR 이 치료범위까지 도달할 때 까지 헤파린 유지
* NOAC
종류에 따라, 신기능에 따라 중단하는 시점이 각기 다를 수 있음. (아래 표 참조)

- 2024.01.02 – 와파린 복용시 필수지식, 와파린의 효능에 영향을 주는 음식과 약물
- 2023.08.27 –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동시에 사용해야할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 2023.02.10 – 심방세동과 항응고치료, NOAC 과 만성콩팥병 (feat. 2021 대한부정맥학회 심방세동진료지침)
- 2020.10.06 – [투석실 이야기] 국내 시판중인 와파린 사진 (환자 설명용)
- 2019.05.03 – 내시경전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언제 끊어야 하나?
- 2018.10.16 – 수술과 항혈소판제
- 2018.08.09 – 시술전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중단 시기 (요약표)
- 2018.08.09 – 침습적인 시술에 앞서 항응고제는 어떻게 해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