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석 환자의 약
– 약 종류
- (1)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CLOPD, Pleetal 등) / 와파린 등 항응고제
- (2) 혈압약 (ARB, CCB, BB, Alpha-blocker, vasodilator)
- (3) 고지혈증약 / 갑상선호르몬약
- (4) 신장약 : 신장비타민 / 철분제 / 이뇨제 / 인약 / 부갑상선약
- (5) 기타약 : 당뇨약 / 위장약 / 변비약
- (6) 칼륨약, 변비약(듀파락) 등 짜먹는 약
* 이 중 심부전 및 심근경색 예방에 효과가 입증된 약은?
□ 혈압이 높을 때
– 투석환자 잘 조절 안된다. 일반 환자와 다르다.
– Volume 평가를 먼저 (volume 평가 방법? ) → 건체중 낮추기
– 혈압약을 잘 복용하고 있는가?
– 다른 원인은 없나? 통증, 스트레스, 수면무호흡, 수면부족, 염분섭취 증가?
– 혈압약 추가 : (ARB, CCB, Beta-blocker, Alpha-blocker, vasodilator)
: 약제 용량 증량 보다는 클래스를 다르게 주는게 효과적
* EPO의 부작용 ?
□ 투석 중 혈압 저하
– 투석간 과도한 체중증가 (+ 상대적으로 짧은 투석시간)
* UF rate 10~13mL/h/kg 초과시 위험 : 60kg 라면 4시간동안 2.4kg ~ 3.1kg
* 이상적인 투석간 체중증가량?
– 건체중을 잘못 설정 : 건체중을 재설정
– 빈혈 : 빈혈을 교정 (2일차 참조)
– 심장문제 (심부전, LVH, 이완기 기능 부전)
– 자율신경계 이상 (특히 당뇨환자) : inadequate vasoconstriction, 미드론 사용
– 부신피질기능부전 : 플루드로코티손 또는 경구 스테로이드제 사용
* 그 외 MI, Septic shock, hemorrhage 등
* RAA system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혈액압력감소 / Na 유입감소시 → 신장 renin 분비증가 → 간에서 합성된 angiotensinogen을 renin 이 잘라줌 (renin 은 잘라주는 효소일 뿐) → angiotensin I 이 생성 → 폐, 신장의 혈관내피세포에서 ACE 효소에 의해 angiotensin II 로 변화 → 부신피질에서 aldosterone 분비 자극 / arteriol vasoncontriction / ADH 분비 자극 / NaCl 재흡수 촉진 → 혈압상승
* 어떤 class 인가? (ARB, ACEi, CCB, BB, Alpha blocker, Vasodilator)
